[알고리즘] 해쉬 테이블(hash table) - double hashing
해쉬테이블은 저장할 key 값은 달라도 hash function을 수행한 결과값은 동일할 수 있다. 이를 충돌(collision)이라고 부른다. 충돌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에는 체인을 이용하거나 오픈 어드레싱 등을 이용할 수 있다. double hashing은 선형 프로빙의 문제를 부분적으로는 해결해준다. 아래의 글에서 선형프로빙의 단점(문제점)을 확인할 수 있다. 2021.12.21 - [알고리즘] - [알고리즘] 해쉬 테이블(hash table) - 선형 프로빙(linear probing) 더블 해슁은 두개의 hash function을 사용하는 것이다. 하나는 처음에 key를 저장할 index를 찾기 위한 것이고, 나머지 하나는 충돌 발생 시 저장할 index를 찾기 위한 것이다. 충돌 발생 시 저장할..
알고리즘
2022. 6. 24. 13:13